*

ANTIQUE
중국자기의 기초지식
‘중국인의 미의식과 일본인의 미의식 그 세번째 청화와 염부’


*

중국자기의 청화, 영어로는 Blue and White.
일본인은 중국청화자기를 보면 염부(소메츠케)로군요. 좋네요.라고 칭찬하며 공감을 요구당한다.
일본인은 중국자기의 청화와 일본의 고(古)이마리로 대표되는, 염부라고 칭해지는 그릇의 카테고리를 염부라고 표현하고, 그 표현을 같은 모양의 물건에 대해 일반상식적 표현으로서 인식하기 있는지도 모른다. 분명히 염부도 청화도 청과 백의 대비로 이루어진 디자인을 기본 베이스로 한 그릇이다.

*

그러나 일본의 염부는 400년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고, 중국의 청화는 1,000년 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. 이 역사적 사실로만 보더라도 일본의 염부는 중국의 청화를 벤치마킹한 작품이라는 것은 다들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.
그렇다면 어째서 일본의 염부는 청화라고 칭해지지 않고, 염부라고 호칭하는 걸까. 그 이유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.
염부라는 표현은 청화와와 달리 색채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다. 유약 아래에 그림을 그린다는 뜻. 그렇다면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말인다. 어째서 일본인은 청화라고 부르지 않고 염부라고 부른 것일까.

*

이는 고이마리의 염부의 청과, 징더진[景德鎭(경덕진)]의 청과 비교하면 분명히 이해가 된다.
청색이 전혀 다르다. 당시 이마리의 도자기 장인들은 중국의 진더진 자기를 보고 그 청색에 반해 그 청색을 표현하려고 했을 것이다. 기술을 습득하고자 초빙한 스승으로부터도 그 기술을 열심히 본받았을 것이다. 하지만 공예품이기 때문에 그 완성도는 원재료의 질에 크게 좌우된다. 당시 일본에는 먼 이란에서 코발트 블루의 안료를 수입할 국력은 없었으리라 보여진다.

*

따라서 장인들은 작품을 청화라고 부르기에는 가치가 없다고 여겨, 청화라고 호칭하는 것을 참을 수 없었다. 따라서, 차라리 제조방법의 호칭인 염부라고 명명한 것이라고 상상된다.
공예품, 미술품의 좋고 나쁨에는, 만드는 이의 기술, 창조력은 물론이거니와, 하늘에서 내려준 자연의 은혜인 광물, 천연물에 좌우된다.
미켈란젤로는 대리석을 몸소 선택하여, 대리석의 원석 그 자체에 조각의 디자인을 이미지 할 수 있었다고 한다. 역시 미술품도 천지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결과이다.

*

청화초당 주인 다나카 야스나리(田中保成)


청화초당
http://bw-antique.jp/